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로스트 미디어/목록/재발견 목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애니메이션, 만화, 외화(해외 애니영화 포함) === * [[101 달마시안 스트리트]] 한국어판[br][[디즈니채널/대한민국|디즈니채널 한국어판]]에서 2019년 7월 22일부터 조금 방영하다가 방영 중단된 데다 다운로드 서비스, 블루레이나 DVD로 나오지도 않았기 때문에 다시 방영 시작하지 않는 한 한국어판 전편은 볼 수 없었고 그나마 유튜브의 디즈니 채널에서 올린 클립들이 몇 개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디즈니+]]의 한국 런칭에 따라 디즈니채널 자체가 송신이 중단되면서 앞날이 불투명한 상황이었으나 디즈니+에 한국어판이 수록되면서 로스트 미디어가 되는 것은 면했다. * [[애니메이티드 미스터 빈]] 한국어판[br][[JEI 재능TV]]이나 [[카툰네트워크]]에서 2015년쯤 더빙 방영을 했으나 2022년 이후엔 자료를 따온 사람이 없어서 인터넷 상에 누가 올린 자료도 없기에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으나 2024년에 미스터 빈 코리아가 개설되면서 한국어 더빙된 자료들이 게시됨에 따라 로스트 미디어를 피하였다. * [[Banned cartoon]][br]이 애니들 중 20세기 전반에 발표된 작품들은 내용 안의 [[미국 흑인|아프리카계]],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개그가 드러나 있으며[* 나무위키 문서의 표제어는 저렇지만 [[영어 위키백과]]에 기록된 'censored eleven'이 본래 명칭이다.] TV 방영은 금지되었지만 1990년대 [[인터넷]]의 대중화가 이뤄지면서 유튜브 등지에 녹화본 영상들이 업로드되어 구글링을 통해 해당한 작품들을 손쉽게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 [[루니 툰]], [[톰과 제리]], [[디즈니 단편]] 등의 옛 미국 애니들 중에서 [[선전 애니메이션]]들을 비롯해 인종차별적인 요소가 정말 심각한 단편들도 있지만 DVD/BD 등에서 대부분 수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루니 툰의 경우 DVD/BD 경고문에 현대 관점에서는 문제가 되는 당시 사회상을 담고 있으며 이후 [[워너 브라더스]]의 의견과는 전혀 다르고 동시에 이러한 요소를 삭제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은폐하려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censored eleven처럼 모든 미디어 발매도 되어 있지 않은 작품들은 녹화본 영상을 구글링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이들과 다르게 [[TV판]] 애니메이션에선 특정 대상에 대한 부적절한 묘사, 연출, 지나친 폭력성 등으로 [[공개 중지 미디어|공개 중지된 에피소드]]들이 존재하며 주로 [[사우스 파크]] & [[패밀리 가이]]나 [[니켈로디언]] & [[카툰네트워크]] 애니메이션에서 종종 발생한다. * [[G.I. Joe: The Movie]]의 일부 장면: 원래의 결말은 현재 개봉된 판본의 결말과 상당히 다른 전개로 갔었다.[* 본래 결말부에선 [[서펜터]]가 전장에서 후퇴하는 도중에 발악하며 공격한 것을 지 아이 조의 주연 캐릭터들 중 하나인 듀크 하우저가 대신 막아냈지만 그 때문에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하는 전개로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이전에 개봉한 [[트랜스포머 더 무비]]의 결말이 관객들에게 전반적으로 혹평을 받자 작품이 개봉하기 이전에 결말 장면들을 재빨리 수정해서 듀크 하우저가 혼수 상태에 빠지는 것으로 연출을 변경하게 된다.] 이후 30년이 넘도록 제작사 관계자와 [[해즈브로]] 측에선 그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나 2024년 개최된 TFNation 컨벤션의 한 패널에서 제작에 참여한 각본가 버즈 딕슨이 원래 결말을 녹화한 비디오를 공개하며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시청하면서 놀라워했으며, 관련된 패널 진행이 끝난 이후 해당 비디오 전체가 유튜브를 통해 인터넷으로 공개되었다. * Hey Hey Hey It's Fat Albert(1969년 스페셜 TVA): 1969년 11월 12일 NBC에서 방영된 Fat Albert & Cosby Kids 시리즈의 파일럿 에피소드이자 스페셜 TVA이지만, 시청했던 사람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인해 (2번의 재방송을 제외하면) 40여 년 동안 출시되지 않은 애니메이션이었다. 이후 2024년 2월에 스페셜을 녹음한 전체 오디오가 유튜브에 업로드되었으며, 같은해 7월 한 유튜버가 Paley Center for Media에서 카메라로 녹화한 비디오를 유튜브에 업로드하였다. * Izzy's Quest for Olympic Gold[br]1995년 8월 12일에 제작된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이지(Izzy)가 주인공인 올림픽 홍보 애니메이션. 오랫동안 로스트 미디어 신세였으나 그 후 2020년 12월에 발굴되어서 --아직도 로스트 미디어 신세인 [[호돌이#s-5|누구]]와 다르게-- 세상에 드러났다. * The Adventures of Johnny Quasar[br][[천재소년 지미 뉴트론]]의 [[프로토타입]] 애니메이션으로 각각 1995년과 1997년에 공개된 이후로 원인 불명으로 영상이 실종되었다가 2017년 8월 쟈니 퀘이사 역을 맡았던 성우 Hilal. H가 유튜브에 원본 영상 파일들[* [[https://youtu.be/bqLMz3rM7Jc|#1]], [[https://youtu.be/mrFlLJRQkmw|#2]]]을 업로드했다. * O parádivé Sally (멋진 샐리에 대하여, Clockman)[br]해외에서 발견된 [[로스트 미디어]]의 사례로 가장 유명하다. 2012년, "어떤 마법사가 시계에서 나와 아이들을 납치해가는 기괴한 만화가 있다"는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다는 내용의 목격담이 인터넷에 제보되었다. "Clockman" 이라는 이름의 이 애니메이션을 네티즌들이 5년 동안 이 잡듯이 조사했으며, 2017년 한 유저의 발견으로 [[니켈로디언]]의 짤막한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는 코너인 Pinwheel Show에서 잠깐 방영된 7분 짜리 체코산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O Parádivé Sally'의 내용이 와전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정작 애니메이션 자체는 기괴하거나 무서운 장면이 전혀 없으며 매우 평범한 아동용 만화이다. [[만델라 효과|어릴 적 기억이 얼마나 쉽게 왜곡되는지]] 보여 주는 좋은 사례. [[https://youtu.be/lZGy0DsBgvg|#]] [[https://gall.dcinside.com/lostmedia/18|한글 자막 버전]] * [[강철의 연금술사(2003년 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2003년판 TVA]] 더빙판[br]2005년 방송 이후 홈미디어 발매가 전무했던 탓에 인터넷에 올라와있던 녹화본만이 유일한 감상 루트였으나, 그마저도 2020년대에 들어서 저작권 탓에 모조리 내려가 로스트 미디어가 되고 말았다. 하지만 [[Laftel]]에서 2023년 판권을 새로 얻어내 더빙판 전 회차를 HD 리마스터해 서비스하기 시작하며 로스트 미디어에서 탈출했다. * [[고르고 13]] 1971년판 애니메이션[br]1971년에 방영된 고르고 13 최초의 애니메이션으로 애니메이션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지화면에 더빙을 입힌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방영 이후 필름이 유실되어 오랫동안 잊힌 작품이었으나 2023년 TBS 창고에서 필름이 발굴되어서 12월에 HD 리마스터해서 TV에 방영되었다. * [[고우영 삼국지]][br][[일간스포츠]]에 연재하다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문제는 [[군사정권]] 시절 작품이다 보니 단행본 발매시에 청소년 수준에 맞춰 매우 빡빡한 검열을 받았다는 것인데 검열 과정에서 아예 원고가 훼손되어 버려서 신문 연재 내용을 단행본으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2001년에 들어와 [[딴지일보]]와의 합작으로 훼손된 부분을 복원 작업 후 온라인 연재해서 원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이후 CD 롬으로 냈다가 2002년에는 애니북스를 통해 냈다. * [[꼬마버스 타요]] '파일럿 판'[br][[오세훈]] 1기 시정 시절에 최초로 계획되었던 작품이며 한동안 오리무중이었다가 한 유튜버에 의해 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ryunmei10|류메이]][* 현재 영상 사라짐.], [[https://blog.naver.com/syoung0248/60114534822|블로거]][* '도깨비가 나타났어요' 편 제외.] * [[나루토]], [[나루토 질풍전]] 더빙[br]2018년 [[투니버스]]가 나루토 더빙 방영을 끝낸 후 한 번도 재방영을 안해서 로스트 미디어가 될 위기였는데 2022년 [[미디어캐슬]]이 나루토 더빙 판권을 확보해서 vod로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 * 제발 한 입만!(Just one bite)의 일부 장면[br][[게살버거]]가 싫다던 [[징징이]]가 맛을 한 번 보고 푹 빠져 버려 밤중에 버거를 훔쳐먹으러 [[집게리아]]로 칩입했다가 불타 죽을 뻔한 장면[* 게살버거를 먹으러 밤중에 집게리아에 몰래 들어가는데 혹시나 밤중에 못 들어가게 도난 방지 장치를 해 두었을까 싶어 겁이 난 징징이는 내부를 살펴보지만 문 위에 살짝 양동이를 걸쳐 놓은 [[https://youtu.be/IyjTf4uBm-4|허접한 장난]]스러운 것만 발견하고 고작 이거냐면서 문을 박차고 들어간다. 양동이의 내용물에는 맞지 않고 들어가서 게살버거를 먹으려고 한다. 그런데 냄새가 이상해서 맡아보니 사실 양동이 안에는 물이 아닌 [[석유]]가 담겨 있었고 "석유다!"라고 말하는 순간은 옆에서 성냥이 떨어지고 대 폭발이 일어났다. 간신히 피한 징징이는 게살버거 창고까지 도망치는데 거기에도 석유 폭발 장치가 있어서 한 번 더 당한다.]이 2번 나오는데 하필 방영일이 [[9.11 테러]]가 벌어진 지 1달도 채 안 지난 2001년 10월 5일이었기에 장면을 새로 수정했다.[* 비슷한 사례로 [[심슨 가족]]의 The City of New York vs. Homer Simpson의 [[세계무역센터]]와 관련된 장면들이 일부 편집되어 팬들이 항의한 사례가 있었다.] 이후 발매된 DVD에도 수정된 장면이 나온다. 다만 인터넷에선 감상할 수 있으므로 완전한 로스트 미디어로 판단하긴 애매하다. 한국 더빙판은 [[EBS]]에서 수정 전 장면을 방송했고 [[재능TV]]판은 수정된 장면으로 방송되었다. * 전염병을 조심해(Kwarantined Krab)[[https://toonado.com/nickelodeon/spongebob-squarepants-season-12-episode-wont-air-due-to-controversial-virus-storyline-a4385|#1]], [[https://blog.naver.com/ptj0969/222294438760|#2]][br][[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사태로 인한 [[동양인]] 차별 문제로 방영 불가 및 광매체판에서도 삭제되었다. 하지만 이 에피소드는 아이튠즈, 프라임 등에서 공개되었는데 [[미국]]에서는 2022년 4월 29일, 한국에선 2021년 8월 12일에는 방송사고로, 2022년 8월 20일이 되고서야 정식 방영되었다. * 더키의 영어세상[br]2000년대 EBS에서 방영된 영어 교육용 애니메이션. 롯데리아에서 비디오판을 증정품으로 제공했다. * [[도야지봉]][br]방송 당시 KBS 홈페이지에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으로 다시보기 서비스했으나 2018년 홈페이지 개편 후 전부 내려갔다. 그나마 공동 제작국인 중국에선 재방영이 엄청 되고 유튜브에서 중국어판이 올려진 거와는 대조적이다. 2019년 겨울 당시 한 네이버 카페를 통해 KBS 홈피에 있던 56k짜리 영상 추출본이나마 전편이 모두 공개되었으나 이 카페는 얼마 못 가 저작권 문제로 영상이 모두 삭제되고, 카페도 폐쇄되었다. 그러다가 2024년 유튜브에 전편이 업로드되었다.[[https://youtube.com/playlist?list=PLyIVourYyEiDQig2LjCzbg0dssoLPkgkP|#]] * [[듀얼몬스터즈(플래시)|듀얼몬스터즈]] 15편[br]14편 제작 이후 갑작스레 연재가 중단되었는데 팬플에 따르면 본래 15편도 완성하였으나 플래시 내보내기 오류로 인하여 넷상에 swf 파일 게제가 불가능했고 충격을 받음과 동시에 만들 의욕이 사라져 중단한 것이였다. 이후 한동안 잊혀졌다가 2020년 1월에 [[플래시365]]에 남아있던 3분 40초 가량의 미완분이 발굴되어 유튜브에 업로드되었고 동년 8월에 팬플이 공식적으로 15편을 재완성하면서 사실상 듀얼몬스터즈의 재연재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두루픽스]]의 작품들 다수[br]제작사의 유튜브 공식 채널을 생성하고 누락된 애니메이션 회차들을 재업로드한다. * [[미피(캐릭터)|딕 브루너 비디오]][br]처음에는 오프닝이 사용된 [[https://www.youtube.com/watch?v=jaJn158Oq_I|영상]]만 공개되어 있다가 한 유저에 의해 11편 '미피가 왜 울까요', '배고픈 물고기', '로티, 화이팅!', '보리스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백설 공주'만 공개되어 있었다. 이후 미피 한국어 공식 채널에서 '바닷가의 미피', '보리스의 겨울 채비', '아기고양이 넬리', '빨간 모자'를 공개했다가[* 정작 먼저 올린 '미피가 태어났어요', '부지런한 뽀삐', '오케스트라', '미피와 자전거'는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영상은 한국어인데 음성은 일본어다.]]] 한 유저에 의해 현재 인터넷 아카이브에 업로드되었다. * [[라 플로라 아카데미#s-6.1|라 플로라 아카데미 GO GO ASEAN]][br][[태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는 [[학습만화]]인 라 플로라 아카데미가 애니화된 것이다. 원작 출판사인 EQ 플러스의 [[유튜브]] 채널에서 영어 자막이 지원되는 공식 업로드 버전을 볼 수 있었지만, 2020년 발생한 EQ 플러스의 일시적 활동 중단 사태 이후로는 1기와 2기 전편 즉 모든 에피소드에 국가 차단이 걸려 버렸다.[* 사실 이전에도 일부 에피소드는 볼 수 없게 국가 차단이 되어 있었다. 이번에는 모든 에피소드가 차단되어 버린 것.] 그래서 로스트 미디어가 되어 버린 상황인데 한국 외 태국 팬들 역시 "공식 동영상이 사라졌다"며 호소하는 것을 보아 모든 국가에 국가 차단이 걸린 것 같다. 그러나 2024년 2월에 2020년 비공개되기 이전부터 이미 삭제되어 발견되지 못했던 1기 8~12화를 포함한 1·2기 전편이 [[인터넷 아카이브]]에 [[https://archive.org/details/laflora|업로드]] 되어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레고 닌자고]] [[닌자고: 스핀짓주 마스터|시즌 0]] 더빙판 일부[br]2011년 1월 방영된 닌자고의 첫 에피소드로 국내판 기준 1화의 절반 정도를 찾을 수 없었으나 미니 무비를 포함한 전 에피소드가 발굴되어 고화질로 복원된 버전을 찾을 수 있다. * [[렌과 스팀피]] 시즌 2 'Man's best friend'[br]원래는 1992년 니켈로디언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후반부에 렌이 조지 리쿼르를 트로피로 마구 두들겨 패는 등의 상당히 폭력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당시엔 방송되지 않은 에피소드였다. 2003년에 제작된 성인판 스핀오프TVA ren and stimpy adult party cartoon에서 편성되어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마경전설 아크로번치]]의 오프닝 자막 오기[br]엔딩곡 '물가에 홀로(渚にひとり)'라는 제목이 '멧돼지 홀로(猪にひとり)'라는 이름으로 오기되어 있었다. 이후 비디오나 DVD 등 매체에선 당연히 이 버전이 실리지 않았기 때문에 방송 당시에 실제로 본 사람들 사이에서만 전해져 내려오며 진위 파악이 불가능한 전설같은 이야기였으나 2014년 버리려는 비디오 테이프를 살펴보다가 이 영상이 녹화되어 있던 걸 본 한 일본인이 이걸 인터넷에 업로드해 사실로 확인되었다. * [[마법사의 아들 코리]][br]1993년 KBS2에서 방영한 뒤 VHS 비디오는 발매되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지상파는 커녕 케이블 방송에서의 재방송조차 드물거나 안 되고 있었으나 유튜브에 [[대원미디어]] 공식 채널인 '대플릭스'에서 전편을 업로드 완료했다. 하지만 6월 29일 대플릭스 계정이 폭파되면서 복구되지 않는 한 볼 수 없게 되었다. 다행히 2022년 5월 5일 KBS의 아카이브 채널인 [[https://youtu.be/WaxYQcEbeVM|옛날티비]]에서 1화부터 순차적으로 올리기 시작했다. * [[매일매일 출근가족]][br]2017년 10월에 완결한 후 2021년 경 원래 서비스하던 [[카카오페이지]]에서 판매중지되어 개인이 소장한 회차 외엔 모두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지만 2022년 6월부터 [[네이버 시리즈]]에서 재연재함에 따라 로스트 미디어에서 탈출했다. * [[메르헨 메드헨/애니메이션|메르헨 메드헨]] 11, 12회[br]작화 붕괴 논란 때문에 작화 수정을 집중하느라 미공개되었으나 작화 수정을 무사히 끝내고 2019년 4월 25일에야 무사히 방영되었다. * [[명탐정 빠쎄]](2005)[br][[디알무비]]에서 제작한 [[3D 애니메이션]]. [[KBS 2TV]]에서 처음으로 공개하였고 이후에도 [[투니버스]]에서 간혹 가다 재방송을 해주었으나 2010년에 [[KBS 1TV]]에서 재방영을 한 번 해 줬다는 소식 이후로는 방송이 아예 되지 않았으며 따로 DVD 같은 광매체로도 출시가 안 된 데다 영상을 따로 녹화해서 올린 사람들도 없기에 작품 자체를 아예 볼 수 없게 되었으나 [[https://youtu.be/YDU7RFeqfQA|한 유튜버가 풀영상을 올리면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밀리언달러스쿨]][br]완결 후 [[네이버 웹툰]] 목록에서 삭제되어 볼 수 없었지만 나중에 한 블로거가 자신의 블로그에 모든 에피소드를 공개해서 로스트 미디어 신세를 면했다. * [[뱀파이어 미유]] TVA 2화 '다음 역에서(次の駅で)'[br]2화 전반부는 미유가 치사토와 만나는 중요한 장면이 있어 2화와 3화가 편집되어 방영되었으며 방송 중지된 이유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그 밖에 유혈장면이나 23화(본방송판의 22화)에서 목이 날아가는 장면도 본방송판에서는 수정되었다. 감독 [[히라노 토시키]]는 흡혈희 미유 만화판 10권 후기에서 "구체적인 이유는 밝힐 수 없지만 '불행한 사건'이 되풀이되어 엄격한 규제 속에서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고 발언했다. 단, 해당 에피소드 자체는 종영 후인 1998년 9월 23일 비디오로 발매되었으며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버전도 이거다. * [[비비스와 버트헤드]] 시즌 3 1편(Comedians)[br]방영된 지 한 달 뒤인 1993년 10월 6일에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5살 오빠가 비비스가 클럽을 불태우는 장면을 모방해 담배 라이터로 2살 여동생이 자고 있던 트레일러에 방화하여 [[모방범죄|사망하게 만든 사건]]이 발생해 해당 편의 방영이 중지되고 여러 장면이 검열되었으며 불에 관련된 언급은 이후의 에피소드들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다만 에피소드에서 삭제된 장면은 유튜브에서 [[https://youtu.be/myV2tU2CqhE|저화질로 녹화한 영상이 업로드되어 있어 볼 수 있다.]] * [[브리스톨 탐험대]] 애니메이션[br]본방 당시 KBS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 서비스했으나 2018년 홈페이지 개편으로 싹 다 내려갔고, 초창기 몇 번의 재방송 이후 더 이상 방영되지 않아 업계 소문으로는 필름이 완전히 소실되었다는 뒷이야기까지 나온 터라 더 이상 볼 방법이 없다고 여겨졌으나 한참이 지난 2024년이 돼서 갑자기 HD로 리마스터 돼서 재방송이 되고 있다. * [[수호요정 미셸]][br]방영 도중에도 KBS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다시보기 서비스를 한 바 있으나 KBS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져 사실상 중국어판밖에 볼 수 없었지만 [[니코니코 동화]]를 통해서 원음에 일본어 자막을 입힌 버전을 볼 수 있긴 하다. * [[슈팅 바쿠간|바쿠간 배틀 브롤러즈]] 4기 일본어 더빙판[br]일본어 더빙은 되어 있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일본어 더빙판은 끝내 방영되지 않았고 북미·홍콩·대만에서만 방영했다. 그렇게 일본어 더빙판은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으나 2021년에 중국의 스트리밍 사이트 [[빌리빌리]]에서 최초로 공개된 이후 유튜브에 일본어 더빙판이 몇 개 업로드되면서 존재가 드러났다. 2022년 9월 17일부로 [[https://www.youtube.com/@judai41|Judai Kun]]이라는 유튜버가 4기 전편을 업로드하면서 로스트 미디어에서는 벗어났으나 모종의 사유로 영상이 내려갈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에[* Judai Kun 채널에서 2021년에 4기 1부 영상 전체와 2부 일부 영상들을 업로드했는데 어느 순간 갑자기 에피소드가 대량으로 내려간 적이 있다.] 다시 몇 개 에피소드가 로스트 미디어가 될 수 있다. * [[슈퍼 사이보그 네로]] 애니메이션 66화[br]혼란이 조금 있었는데 2016년 4월 3일 슈퍼 사이보그 네로 양덕후에 의해서 일본판 66화 영상이 올라왔지만 영상이 삭제되면서[* 사실 이건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데 다름 아닌 니코동에 유료로 공개된 것을 유튜브에 업로드한 것이다. 즉, 저작권 문제로 인해 삭제.] 다시 로스트 미디어화되었다가 2019년 1월에 [[https://nicovideo.jp/watch/sm34482588|니코동에 다시 업로드되었다.]] * [[씽씽씽! 동요나라]][br]한동안 소실되었다가 2021년에 전편 플래시 파일들이 발굴되어 [[플래시아크]]에 업로드되었다. * 아파치 야구군(1971년 애니메이션판)[br]한때 고시엔에서 우승했던 왼손잡이 투수 "도지마 츠요시"가 아버지와의 불의의 사고로 왼손을 다쳐 공을 잡을 수 없게 되어 에히메현의 시골인 이노사루촌의 고등학교로 가서 야구부 코치가 되어 이들을 훈련시켜 [[고시엔]]에서 우승시킨다는 스토리를 지닌 "하나토 코바코"의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당장 제목부터 "아파치[* [[아메리카 원주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종전 직후 [[오사카]] 육군 조병창 부지에서 고철을 캐내던 전후의 사람을 의미한다.]"라는 차별적인 용어를 사용한 데다 배경인 이노사루촌은 약육강식의 세계로, 근방의 다른 마을 사람들에게는 "아파치 마을"이라고 불린다는 설정 등 [[부라쿠민]] 관련 차별 문제로 26화 종영 이후 어떠한 매체에서도 재방영, 재출시를 하지 않았다가 이후 제작사인 [[토에이 동화]]에서 DVD 버전을 출시하며 로스트 미디어 신세는 면하게 되었다. 출시 당시 "표현이나 대사의 일부분은 오늘날에는 반사회적으로 보여질 소지가 있다"고 작품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나 토에이 측에서는 작품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어떠한 수정을 가하지 않고 26화 전편을 재출시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토에이 애니메이션은 인종 스테레오 타입이 나왔던 근육맨, 드래곤볼 등의 1990년대 이전에 제작한 자사 애니메이션 작품들에서도 아무런 삭제, 편집 없이 대부분 광매체로 발매한 바 있다. 다만 드래곤볼의 경우엔 구극장판에서 검열이 없다는 문구와는 달리 실제 영상에서는 욕설 관련 묘사를 검열하면서 비판을 들은 바 있다.] * [[아이러브에그]][br]15~23화가 아카이브 사이트에서만 그 존재가 확인되는 로스트 미디어였으며, 특히 19화는 아카이브에도 남아있지 않아 존재 여부조차 불분명했다. 그러나 1~14화를 공유하고 있던 플래시 유튜브 채널에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KeeYKhpMOVPdmGFgqlmFQJZLOPrpyxJ|나머지 부분]]이 업로드되며 로스트 미디어에서 해제되었다. * [[안녕?! 자두야!!]] 1기 좋으면 좋다고 말해[br]2020년 대교어린이TV 및 브라보키즈 재방 당시 몰카 논란으로 인해 심의에 걸려서 완전히 삭제된 줄 알았으나 [[https://www.youtube.com/watch?v=KMrVjk3tIao₩0.00|이 영상]] 20분 27초 부분에 나와있다. B tv VOD 서비스에도 있었으나 삭제되어 이것만 남아있다. * 알록달록 크레용[br]방영 도중에도 KBS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다시보기 서비스를 한 바 있으나 KBS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졌고, DVD도 나왔으나 소장용 비디오물 특성상 찾는 사람이 많지 않아 사실상 묻히는 듯했다. 2016년 2월에 쏘울크리에이티브의 제작사 채널인 애니프렌즈에 업로드했다가 어떤 이유에선지 삭제되면서 다시 로스트 미디어화되었다가 넷상에 남아 있었던 영상은 오프닝, 엔딩, [[https://youtu.be/ns1acaVHR_Q|DVD 화질로 변환된 일부 에피소드]]밖에 없었지만 2019년 12월 31일에 "김인일" 네이버 카페를 통해 저화질 본편이 모두 공개되면서 또 다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https://cafe.naver.com/ikim4355/8069|PC]] [[https://m.cafe.naver.com/ikim4355/8069|모바일]] * [[야스지의 포르노라마 해버려!!]][br]1971년 9월 24일에 상영된 일본의 성인 애니메이션. 원작은 만화가 타니오카 야스지(谷岡ヤスジ)의 만화. 제작사는 [[니혼 테레비 동화]]로, 현재 저작권 문제로 봉인 상태인 [[도라에몽(1973년 애니메이션)|1973년판 도라에몽]]을 제작한 회사다. 반세기 전에 제작된 애니인데도 불구하고 [[불륜]], [[수간]], [[소아성애]], [[강간]], [[근친상간]], [[할복]] 등 요즘 시대로 봐도 매우 자극적인 소재들이 나와 당시 크게 논란이 되었고 흥행에도 실패하고 제작사였던 [[니혼 테레비 동화]]마저도 얼마 안가 해산하고 말았다. 그렇게 잊혀진 작품이 되어 버린 듯했으나 1990년대에 IMAGICA에서 본작의 네거티프 필름이 발굴되었다.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2005 및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필름 센터(현 국립 영화 기록 보관소)의 상영 기획전 '발굴된 영화들 2018' 등에서 한정적으로 재상영된 바있다. 2019년 10월 2일 해당 작품의 리마스터화 DVD가 발매될 예정이라고 한다. 같은 곳에서 제작된 [[도라에몽(1973년 애니메이션)|도라에몽]]과 달리 로스트 미디어 신세는 면한 셈. * [[엽기 삼국지]] 한국판[br]방영한 지 10년도 지났고 방영 채널도 인지도가 낮은 XTM이라 그 전까지는 블로그, 유튜브 등지에서 오프닝 말고는 찾을 수 없다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RdcOBZC4CN9VwdQDHE8AkmNHDPnjtNS|낄룰루]]라는 유튜버가 유튜브에 전편을 올리면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웹툰 [[오무라이스 잼잼]] 238화, 239화[br]2019년 9월 공개된 해당 에피소드는 추억의 게임이 주제인데 해당 회차에 나온 오락기[* 실제로 작가와 그의 가족들이 구입한 오락기다.]가 정식 라이센스를 받지 않은 불법 오락기라는 사실이 밝혀져 해당 회차를 내렸지만 2020년 출시된 단행본에 해당 회차가 수록되어 현재는 책으로만 감상할 수 있다. * [[오소마츠 군(1966년 애니메이션)|오소마츠 군(1966년판)]][br]1970년대 재방송 이후 방영이 끊기고 필름이 분실되었으나 1990년 [[마이니치 방송]] 내부 스튜디오의 필름 창고에서 전체 에피소드가 담긴 필름들을 재발견해 도라에몽(1973년판)처럼 유실물 신세는 면했다. 사실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빅 X를 포함한 1960년대의 극초기 일본의 TV 애니메이션들 중 모종의 사정으로 일부 에피소드들이 유실된 작품들이 여럿 있다. * [[와라! 편의점]] 211화[br][[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던 날 올라왔는데 편의점 도둑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셔츠 안에 [[천안함 피격 사건|매직]]으로 써진 [[한나라당|파란색의 '1번'이라는 글씨로]] 잡는다는 내용에 마지막 컷에서 [[민주당(2008년)|초록색의 2번 글씨가 적힌 사람]]이 나오자 많은 비난을 받은 뒤 결국 다른 에피소드로 교체되고 삭제되었다. 선거 당일에 대놓고 특정 당을 비난하는 만화를 올려서일 수도 있겠지만 당시 논란이 많았던 [[천안함 피격 사건]]을 비꼬았다는 것에서[* 5회 지방선거가 천안함 피격이 일어난지 1달 남짓한 시간 뒤에 이루어졌다.] 비난을 피할 수 없었던 듯. 삭제는 윗선의 개입 때문은 아니라 자발적으로 했다고 했다. [[https://blog.naver.com/xtac17cc/150087532589|백업본]]이 올라와 있어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 [[우당탕탕 재동이네]] 목욕탕 소동 편[br]원래는 3화였으나 이 에피소드에서 재동이가 여자 가슴을 만지고 성희롱적 발언을 하는 등 애들이 보기엔 부적합한 장면이 많이 나와 공식에선 이 에피소드를 삭제하고 호박같은 간호사를 3화로 대체했다. 한동안 보기 힘들었다가 본래 플래시 애니메이션이었기 때문에 2021년에 [[플래시아크]][* 본래 유튜브에서도 올라왔었으나 2024년에 해당 영상을 올린 계정이 폭파되었다.]에 올라와 있어 감상이 가능하다.[* 다만 해당 사이트의 정책으로 인해 그냥 볼 수 없고 회원가입을 해야 볼 수가 있다.] * [[짱구는 못말려]] 일본판 93화[br]1994년 4월 18일에 방영된 에피소드로 공식 아카이브 사이트에 없고 재방송도 하지 않았다.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에피소드 중 당시 개봉을 앞두고 있던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을 소개하는 내용이 있어서 재방송을 하지 않았다는 설이 있다. 2020년 스페인 팬이 작중 첫 번째 에피소드를 유튜브에 올렸고 이후 2024년 11월 18일 한 레딧 유저가 하와이 지역방송 KIKU[* 미국계 일본인이 설립한 방송국으로 주로 일본 콘텐츠를 자막으로 방영했다.]에서 방영한 93화 전체를 발견해서 인터넷 아카이브에 올려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이후 2025년 5월 12일에 93화 첫 번째 에피소드인 '書道で心をめにするゾ(서예로 마음을 비워요)'가 공식 아카이브 사이트 '부리부리 CLUB'에 디지털 리마스터링되어 업로드되었다. * [[재미나라]] * [[누야(재미나라)]] * [[정글 쿠로베]][br]1989년에 불거진 [[인종차별]] 논란 때문에 한때 원작 만화와 애니메이션 모두 흑역사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나마 원작 만화의 경우 이미 단행본이 시장에 나온 상태였지만 애니메이션은 광매체 등으로 발매되지도 않았다. 하지만 2010년 소학관이 발간한 [[후지코 F. 후지오]] 전집에 만화가 실리면서 봉인이 풀렸으며 애니도 2015년에 DVD로 발매되었다. * 웹툰 [[주일은 쉽니다]], [[우주는 쉽니다]]※[br]2015년 전후로 네이버 [[베스트도전]] 등지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웹툰이었으나, 작가인 [[미역국(만화가)|미역국]] 작가가 웹툰을 리메이크 하기 위해([[코스믹 코믹스]]) 이전 연재분이던 구 버전을 모두 삭제했다.[* 이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작가의 심정이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아니나, 왜 굳이 멀쩡히 연재되고 반응도 좋았던 이전 연재분을 왜 말도 없이 삭제하느냐에 대해서 비판의 여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다행히 아카이브에 올라온 회차도 있고, 팬 더빙 등의 콘텐츠로 기록된 회차도 있고, 애독자들이 소장중이던 화를 공유하여 로스트 미디어에서 탈출했다. 다만 우주는 쉽니다의 경우 전체 회차는 50회 정도인데 반해 아카이브에는 3개의 화밖에 없고, 팬백업 사이트에도 11화 까지만 올라오는등 유실이 많이 되었다. * 웹툰 [[아스테리스크!]][br][[아스테리스크 : 은하수를 걷는 용]]의 리메이크 전 버전. 2014~2015년에 네이버 베스트도전과 폭스툰에서 연재되었던 아마추어 웹툰이었으나, 2019년 경 원작자가 모든 연재처에서 웹툰을 삭제하였다. 작가 하드에도 남아있지 않다고 하여 완전히 로스트되었다고 추측되었으나, 2024년 작가가 일부 화를 발견하여 재업로드하였고, 이윽고 한 팬이 베스트도전 연재분 전체의 백업본을 공개하여 로스트 미디어에서 탈출했다. * [[쥬블스!]][br]2021년까지는 꽤 오랫동안 영상 기록이 드문 대신 사진 자료가 많이 남아 있었으나 토모키즈 앱에 전편이 업로드되었고 그 후엔 3월에 한 유저가 전편을 업로드하면서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 [[지구용사 벡터맨]][br]방영이 끝난 후 챔프에서 재방영을 한 덕에 판도라TV 등지에 업로드된 바 있으나 세월이 흘러 저작권 단속 등으로 업로더들이 손을 떼면서 영상이 많이 사라져 10편 분량밖에 안 남았다가 자료를 소장한 몇몇이 에피소드를 각자 하나씩 올리기 시작해 마지막으로 유일하게 행방이 묘연했던 23화까지 업로드되며 현재는 모든 에피소드를 볼 수 있게 되었다. * [[첵스 초코]] 온라인 에피소드 1[br]2007년에 제작된 [[첵스 초코|첵스초코]] 홍보 애니메이션의 에피소드인데 문제는 해당 에피소드 중 [[체키(첵스초코)|체키]]의 부모님인 가로줄 첵스와 세로줄 첵스가 [[성관계]]를 하는 장면이 [[동심 파괴|간접 묘사]]된다. 이후 아무 문제 없었다가 세월이 흘러 일자 미상에 [[켈로그]] 홈페이지가 개편되어 기존 첵스 홈페이지가 없어졌고 2020년 중반기에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강화로 인해 애니메이션을 만든 회사의 [[https://www.youtube.com/@aniframe2001|유튜브 채널]]에 있던 해당 영상이 삭제되어 더는 볼 수가 없게 되었다가 일자미상에 복구되었다. * [[코이코이7]] 5화[br]TVA판 5화 마지막에 나온 [[자위행위|이상한 행동]]을 하는 장면이 나왔는데 충격스럽게도 [[자위행위|이상한 행동]]을 하는 은발 미소녀 캐릭터의 성우가 [[미즈키 나나]]다[* 2005년 당시 미즈키 나나는 [[페이트 테스타로사]] 등을 통하여 네임드 성우로 명성을 쌓는 중이었다.]. 서비스신이라고 하기는 너무 지나친 데다가 소속사(+[[킹 레코드(일본)|음반 회사]]) 측에서도 명예를 지켜야 하는지라 재방송판 및 DVD판에서 [[자위행위|해당 부분]]만을 삭제했다. 다만 TVA 본방송 녹화본이 남아 있어 완전 소실된 것은 아니다. * [[애니메이션 영화]] 쿤스킨 [[감독판]]([[이탈리아어]] 더빙판)[br][[랠프 박시]]가 연출, 제작을 맡은 작품으로, 1975년 개봉을 앞두었을 때 영화를 공격하면서 벌어진 시민단체의 [[보이콧]]으로 인해 파라마운트 컷(오리지널 판본)은 오랫동안 미공개 상태였다. 2023년 한 [[이탈리아인]] 유튜버가 잃어버린 영화들의 이탈리아어 더빙판들을 발굴하던 중에 개인 수집가에게 연락해 구입한 VHS 테이프에서 오리지널 판본을 재발견하여, 자료를 업로드한 유튜브와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감상할 수 있다. * [[쿵야쿵야]][br]2018년에 KBS에 있었던 공식 스트리밍 사이트가 폭파되었으며 2022년에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던 비공식 업로드본 역시 삭제되었다. 전체가 유실된 로스트 미디어 치곤 인지도가 높아서 클립 자료가 많은 편이며 넷마블 산하의 트위터 계정인 주먹밥쿵야 계정의 일부 장면 업로드 정황이 있으며 쿵야 굿즈 중에도 쿵야쿵야 기반 디자인이 있다는 것으로 대략적인 판권 관리 정황은 알 수 있다. 그러던 중 공식 계정이 만들어져 전편 업로드가 완료되었다. * [[큐빅스]][br]방영 당시 SBS 홈페이지에서도 유료 VOD 서비스를 했다가 세월이 지나 홈페이지 개편 등으로 유실되었지만 2020년 6월 전편을 소장하고 있는 한 유튜버가 자신의 채널에 2기인 로보짱 큐빅스를 포함하여 업로드했다. * [[쾌걸 조로리]] 1993년판 애니메이션[br]1993년 7월 17일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는데 현재는 오프닝 영상이랑 [[https://anisearch.com/anime/4983,kaiketsu-zorori-mahou-tsukai-no-deshi-dai-kaizoku-no-takara-sagashi|스틸컷 몇 개]]만 남겨져 있었다. 타 작품들과는 다르게 전체가 유실된 원인조차 알 수 없는 상황. 다만 2008년, 2014년에 니코동에 올라갔다가 판권사에 의해 삭제당한 흔적이 있다. 이후 [[https://youtu.be/5U6xNYrat3k|유튜브에 스페인어 자막판이 올라왔다.]] * [[텟펜!!!!!!!!!!!!!!!]] 2화[br]2022년 7월 9일 방영 예정이었으며 [[http://ota-suke.jp/news/269764|대통령 암살 계획을 저지하는 내용]]이었는데, 방영 전날 [[아베 신조 피살 사건]]이 발생하여 1화를 재방송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단, 방영이 일시 취소되었다가 2개월 뒤인 9월 10일에 방영되었다. * [[토마스와 친구들]] * 시즌 12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더빙판[br]시즌 12는 특이하게도 2가지 더빙 버전이 있는데 [[김승준]] 성우가 더빙한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더빙판과 [[유동균(성우)|유동균]] 성우가 더빙한 Kids1 더빙판이 있다. Kids1판은 VOD까지 나왔지만 EBS판은 1, 2, 3, 4, 11, 20화밖에 남지 않았으나, 2024년 11월 17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media&no=32874|로스트 미디어 갤러리에서 EBS 더빙판 전편이 실린 구글 드라이브 파일이 올라오면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1983년 파일럿[br]브리트 알크로프트가 '토마스와 고든(Down the mine)' 에피소드를 파일럿판으로 제작했으나 미공개. 다만 일부 장면을 시즌1 25화에다 삽입했다. 파일럿 영상 자체는 유실되지 않았으나 그렇다고 공개되지도 않은 상태였으며, 정식 공개 전까지는 마텔의 사내 아카이브에 보관 중이었다가 2025년, [[https://youtu.be/esi1J2Q_WVM?feature=shared|원작 80주년을 기념해 파일럿 에피소드가 42년만에 마텔에 의해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그러나 미공개되던 중에 필름의 일부가 열화되었는지 리마스터링 복원 과정에서 배경음악은 1984년 시리즈에 참여한 마이크 오도넬이 다시 작곡하였다.] * [[파워퍼프걸]] 시즌 5의 See me, Feel me, Gnomey 편[br]처음엔 [[공산주의]]적인 묘사와 빠르게 껌뻑이는 포켓몬스터의 폴리곤 에피소드와 비슷한 씬으로 미국에서 방영 금지되었다고원인이 알려졌지만 훗날 제작자 [[크레이그 맥크라켄]]이 텀블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카툰네트워크에서 에피소드를 종교적 이미지로 인식해서 방송 금지당했다고 한다. 다만 캐나다, 한국을 비롯한 해외에선 정상적으로 방송되었으며 이후 DVD를 통해 해금되었다. * [[패트와 매트]]의 50화 '카드'[br]이 경우는 원작자가 사망하면서 저작권 논쟁이 일어나 십수년 간 제작회사에서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정보를 일절 공개하지 않았으나 2014년 3월 한국의 한 블로거에 의해 [[https://youtu.be/918Lfkqfrqs|에피소드가 유튜브에 공개되었으며]],[* 2002년 10월 '엘라이트프로덕션'에서 제작한 패트와 매트 영어 교육용 비디오 2집 1편에서 찾았다고 한다.] 2024년 7월 유튜브에 완전한 고화질 버전이 공개되었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포켓몬스터]] 무인편 39화[br]38화가 전설의 [[포켓몬 쇼크]] 사건이 터진 전뇌전사 폴리곤이었고 자연스럽게 그 다음주에 방영될 예정이었던 39화 루주라의 크리스마스편은 일본 전국에서 모두 방영을 취소했다. 그리고 1998년 4월 11일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문제 검증 보고' 방송까지 거치고 나서야 애니메이션이 다시 시작되었고 방영이 재개된 1998년 4월 16일에는 39화가 아닌 40화부터 스타트하는 바람에 39화가 한동안 로스트 미디어 신세였다. 1998년 10월 5일에 1998년 겨울 스페셜 후반부에 방영될 예정이었던 롱스톤과 비박편과 같이 특별편으로 방영되면서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 24화[br]예고편에서 바다 속에 침몰된 배가 등장하는데 방영 시기에 하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한국에서 큰 사고]]가 벌어지면서 일본 측에서는 해당 에피소드 방영을 즉각 취소하고 25화로 건너뛰어 방송했다. 이후 몇 개월 뒤 이슈가 잠잠해지고 나서야 방영이 되어 로스트 미디어를 벗어나게 되었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일본보다 먼저 방영하는 바람에 다소 비판을 받은 바 있다. * [[포켓몬스터 THE ORIGIN]] 더빙판[br]TV에서 방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찾을 수 없었고 녹화해 놓은 영상도 없어서 2013년이라는 비교적 최근에 방영된 애니메이션임에도 로스트 미디어 취급을 받았다. OTT 서비스인 [[Seezn]]에서 발견되면서 여기에서 벗어났다. * [[포켓몬 제너레이션즈]] 더빙판[br]2020년 2월 28일 갑자기 알 수 없는 이유로 유튜브, 네이버TV와 라프텔, 올레tv, wavve 등 공식적으로 스트리밍되던 모든 플랫폼에서 내려갔으며 꽤 오랫동안 그 어떤 경로로도 한국 더빙판을 접할 수 없었다. 라프텔에서는 판권이 만료되어서 볼 수 없다고 떴다. 당시 남아있는 영상은 [[https://youtu.be/sCP4IbN9kFo|20초 분량의 15화의 한 장면]]이 유일했었고 이후 아무 소식이 없었으나 10월 경에 누군가가 상술한 영상에 에피소드 1[* 목소리가 없어서 따로 올리지 않았다고 한다.]을 제외한 전 에피소드를 [[데일리모션]]에 업로드를 댓글[* 현재는 삭제되었다.]로 알려 비로소 비공식이기는 하나 마침내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 [[홍길동(1967)|홍길동]](1967)※[br]한국 최초의 컬러 장편 만화영화. 한국 애니메이션치고는 이례적으로 [[프리스코어링|전시녹음]]으로 제작되었다. 그 동안 사진만 몇 장 남아 있고 스핀오프작 호피와 차돌바위(1967)는 넷상에도 영상이 남아 있었으나 2006년에 이남국 교수에 의해 흑백 예고편이 발견된 뒤 2007년 11월에 애니평론가 김준양 교수가 기적적으로 일본에서 16mm 더빙 필름을 발견해 원래 가지고 있던 음성 릴과 합쳐서 35mm짜리로 복원에 성공하여 2008년 상암 한국영화박물관 개관기념 영화제에서 폐막작으로 공개되었고 2016년에는 [[한국영상자료원]]을 통해 DVD까지 나왔다. 그리고 2018년 9월 3일에 유튜브에 업로드 하였다가 VOD 판매를 위해 유튜브에선 다시 비공개 처리되었다가 2021년 [[한국영상자료원]]에서 2008년에 제작된 복원판 필름을 기반으로 다시 4K 복원했다. 2008년 복원판은 일본 상영판을 사용해 복원한 거라 오프닝과 엔딩 타이틀, 크레딧이 일본어로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2021년 복원판에서는 최대한 극장 상영 당시의 원본 느낌을 살려서 복원하려 했기 때문에 한국어로 된 타이틀과 크레딧을 자료원이 직접 제작했다. 이후 한국영상자료원 공식 영상 채널 등에서 재공개되었다. 엔딩 타이틀의 "끝" 캘리그라피는 후속작 '호피와 차돌바위'와 흡사했을 것으로 판단해 후속작을 참고했고 오프닝 타이틀 캘리그라피는 상영 당시 포스터에서 가져다 썼다고 한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본어로 된 크레딧이었는데, 일본판은 한국 제작진 부분의 크레딧은 한자로 표기되어 있었고 일본어 성우진의 크레딧이 장시간 이어지도록 편집되어 있었다. 한국판에 없었을 일본 성우들의 크레딧은 없애면 되었지만 나머지 부분은 개봉 당시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던 분들의 기억에 의존한 구술과 기타 여러 정황으로 한국 개봉판은 동일한 배경 화면에 동일한 한국 제작진이 한글로 표기되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포스터에서 크레딧을 표기한 글씨체가 일본판 한자 글씨체와 공통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보여 일본판 크레딧의 글씨체가 지닌 색감, 번진 느낌의 음영을 동일하게 살리고, 한국 포스터의 한글 글씨체 모양을 모사하여 크레딧의 글씨체를 디자인했다. 또 재생 중인 필름 특유의 불규칙적인 그레인 변화와 미세한 배경 떨림, 음영 차이 등을 살리기 위해 일본판의 원색 크레딧 배경을 프레임 단위로 수정하여 복원된 자막 뒤로 그대로 옮겨와 작업하는 등 많은 노력을 들였다고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복원된 2021년판은 2022년 6월 15일 0시에 공개되었다. * [[흑장미 부인의 문방구]][br]방영 당시 MBC 홈페이지에서도 유료 VOD 서비스를 했으나 세월이 흘러 WMP 지원 중단 등으로 싹 다 지워졌다. 그나마 남아있는 거라곤 유튜브에 올려진 일부 에피소드의 편집본이 전부였었고 그나마 전편이 올라와있던건 매직영상 페이스북에 1화밖에 없었지만 2020년 8월부터 매직영상에서 만든 유튜브 채널에서 옛날 [[한국 애니메이션]]의 활성화를 취지로 전편을 업로드하였다. 그 후론 네이버 시리즈에서 유료결제로 감상할 수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미 2016년에 유튜브에 [[아랍어]] 더빙판으로 올라왔기 때문에 완전한 유실은 아니었다. * [[파페포포 메모리즈|파페포포 시리즈]]의 애니메이션[br][[SBS]] 방영 당시 암흑 시간대인 오후 4시에 방영되었고 방영 이후에 케이블 채널 방영 혹은 IPTV에서도 서비스 되지 않아[* 2017년까지 방영권을 포함한 파페포포 애니에 관련된 판권이 SBS에 있었고 2018년에 제작사로 넘어 왔다고 한다.] 로스트 미디어 취급을 받았으나 2020년 8월부터 [[https://www.youtube.com/@papepopos|파페포포 유튜브 채널에]] 본편 영상이 업로드되기 시작했고 2021년 5월 30일 부로 최종화인 24화까지 모두 업로드되었다. * [[도라에몽]] 원작만화 연재본 * [[가챠코]]가 나온 원작 에피소드들[br]1970년에 가챠코가 등장한 5개의 에피소드들은 위 캐릭터가 흑역사화된 이후 단행본에 수록되지 않았으나 2009년에 '[[후지코 F. 후지오]] 대전집'이라는 작가의 작품 모음집 출간을 시작하면서 그 중 일부인 도라에몽 2권, 도라에몽 3권에 수록되었다. * [[타잔 팬티]] 연재본[br]1977년 처음 잡지에 나오고 나서 그다지 부적절한 내용탓에 35년 동안 연재본만 있었다가 2012년 후지코 F. 후지오 대전집 도라에몽 제18권에 수록되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 [[뿔뿔이 드라이버]][br]타잔 팬티보다 훨씬 기묘한 에피소드다. 신체 절단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 때문인지 그나마 수정된 상태로 나온 타잔 팬티와는 다르게 단행본에서 미수록되었고 애니메이션으로도 나오지 않았다. 이것 역시 2012년 후지코 F. 후지오 대전집 도라에몽 제18권에 수록되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 도라에몽이 없어져버려!?, 도라에몽 미래로 돌아가다[br]자세한 사정은 [[도라에몽#s-4.2|링크 참고]]. * [[도라에몽 극장판 - 로봇 전쟁]][br]개봉 후 어른의 사정으로 VHS, DVD 등 어떠한 매체로도 나오지 않은 데다 제작사에서도 필름을 못 찾았지만 대만의 한 유저가 현재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DVD를 소장 중이라고 한다. 아마 내부 테스트용 같은 DVD가 유출된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클립과 스틸컷은 이 사람이 올린 것. 다만 인터넷에 업로드하거나 기증 의사는 없다고 한다. 소장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 [[도라에몽]] 켄짱의 모험[br]1981년 세계 장애인의 날 기념 캠페인용 특별 단편 애니.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들과 지체장애인 켄짱과의 교류를 다루는 내용이다. 일본 각지의 학교, 공민관과 [[테레비 아사히|TV 아사히]]에서 틀었고 이후 각지에서 틀어줬는데 마지막으로 상영된 게 2002년이다. 재방송 및 VHS/DVD화가 한번도 되지 않았고 《교통안전이야! 도라에몽》과 다르게 인터넷에도 올라오지 않아서 볼 길이 없었다. 하지만 어떤 일본인이 친척에게 받은 비디오 중 이걸 발견해서 일부를 [[https://twitter.com/VHSLOVEVHS/status/1763860073020043543|X에 업로드했다.]] * [[마음의소리]] 105화[br]노인 회갑 잔치가 지루하다고 하다가 사진찍을 때 [[축생]]육갑이라고 나오는 걸 보고 재미있다고 하는 부분.[* 잘 보면 옆쪽의 화환도 [[병신]]으로 나온다.] 네이버 연재 당시 [[노인 혐오|노인 비하 논란]]이 생기면서 다른 내용으로 교체되었다. [[http://onlifezone.net/zboard.php?id=rest2&no=49608|문제의 에피소드]]/[[http://archive.is/RifuL|아카이브]].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과 어둠의 탐험대[br]구조대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포켓몬 코리아의 VOD 서비스와 TV 방영이 중단된 후 몇몇 사이트에 올라온 풀버전이 어느 순간 전부 내려갔고 챔프TV 프로그램 목록에서도 내려갔으나 다행히도 네이버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zug001/221569728856|재능TV 방영 풀영상 녹화본]]이 올라와 현재까지 남아 있다. * [[플라워보이 화랑]] 한국어판[br]웹툰 완결 후 후기에서 웹소설이나 다른 장르가 될수도 있어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이야기를 풀어나가겠다고 언급했으나 해당 웹툰을 연재하던 스튜디오 카브가 2018년 3월 말에 폐업하는 바람에 프로젝트가 무산되고 웹툰 페이지는 폐쇄되어 한국어 연재분이 전부 사라져서 영어판만 남아있었으나, 2024년 4월 이후 네이버 시리즈, 카카오페이지, 리디북스, 레진코믹스 등에 에필로그까지 업로드 되어있다. * [[유적탐험대 팜&일]] [[투니버스]] 더빙판[br]투니버스가 조악한 화질로나마 VOD서비스를 하기 시작한 2000년대 초에도 99년도 이전에 방영한 대부분의 투니버스 더빙애니들과 마찬가지로 VOD 다시보기가 지원되지 않고, 2006년 애니맥스에서 재방한걸 마지막으로 아카이브가 발굴되지 않았기에 로스트 미디어로 남아있나 했다. 그러나 어떻게 발굴되었는지 2020년 전 4화가 유튜브에 업로드되어서 로스트미디어 신세에서 벗어났다. * 웹툰 노이즈[br]전체적 내용만으로도 문제작이지만 특히 16화 공개 이후 네이버 웹툰계에 광역 어그로가 시전된 이야기는 이미 레전드. 자세한 내용은 [[도전만화코너 아동 강간장면 게시 사건]] 문서 참조. 1화부터 15화는 한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공개 되었으며, 문제가 되었던 16화 같은 경우, 다음 카페에서 스크랩 되면서, 사실상 소실은 면했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네모 스펀지송]][br]2000년대 중후반 이후 UCC 시대의 도래에 따라 동영상 사이트, 포털 사이트 블로그, 웹하드 등에 널렸으나 세월이 흘러 사이트 측의 무차별 저작권 단속과 업로더의 활동 중단/탈퇴 등으로 싹 다 내려갔지만, 2020년대 들어 일부 에피소드들이 많이 발굴되었다.[* 발굴된 에피들 중 시즌1 12화 중 두번째 에피소드(이달의 직원) 외 시즌1, 시즌2 신발끈 매기/깐깐징어 놀던날, 인어맨과 조개청년3/우정과 인기, 첫번째 크리스마스, 시즌4 천재가 된 별가/스펀징어 깐깐송, 최고의 발명품/유령 손님,생일 선물/무술의 섬,진정한 뒤지개/마법의 우물,양동이 속 선물/껍질 속의 공포, 비키니 시의 겁나는 녀석들/다시마 주스,시즌5 뒤죽박죽 첩보작전/지혜로운 운전자를 위해/이름 외우기, 스펀지 천국/별가의 노래,벼룩/도넛/얼룩과의 전쟁 등이다.[[https://gall.dcinside.com/euca/1458545|#]]] 시즌 1~4 1쿨까지 현재 발굴되었고 시즌4 2쿨, 시즌5 일부는 미발굴 상태이다. * [[칠칠단의 비밀]] TVA판[br]방영 당시 동시기 MBC 방영 애니들처럼 시청률이 안 나온 데다 2013년 DVD로 나온 것 빼고 아예 묻혀졌지만, 그나마 제작사인 매직영상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했다. * [[닥터후/뉴 시즌 2|닥터후 시즌 2]] 12~13화 더빙판[br]2006년에 첫 방영 이후 어째서인지 어떤 [[어둠의 경로]]로도 시즌 2 12~13화 더빙판는 볼수 없었다.[* 2013년 [[김승준]] 성우 팬카페에서 시즌 2 더빙 DVD가 발매된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끝내 발매되지 않았다.] 이후 닥터후가 [[닥터후/뉴 시즌 10|시즌 10]]까지 방영되었는데도 시즌 2 12~13화 더빙판는 계속 볼수 없었다가 2024년 9월 4일에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의 한 유저가 발굴하여 더빙 방영 '''18년'''만에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트라이 킹덤]][br]2005년 설날에 첫 방영 이후 방영했다는 자료가 없으며 오프닝 영상이나 트레일러조차도 남아있지 않아서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지만 2024년 11월 30일에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의 한 유저가 발굴을 해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 [[리치 리치]]의 [[해나바베라]]판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Video World[br]해나바베라에서 제작한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방영한 리치 리치 애니메이션이 있었는데, 다른 에피소드들은 유튜브 등지에서 모두 온전하게 올려있는 상태였지만 가장 마지막 에피소드였던 Video World같은 경우에는 유일하게 신디케이션 패키지로 나오지 않아서 미국 쪽의 애니메이션 채널에서도 방영되지 않았다. 부메랑 웹사이트나 아마존 프라임과 같은 유료결제로 볼 수 있기는 했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었다. 그러다가 2025년에 어느 유튜버가 해당 에피소드를 업로드해서 누구나 볼 수 있게 되었다. * 호접몽 더빙판[br]2003년 대만에서 양산백과 축영대의 이야기인 나비지애를 원작으로 제작된 극장 애니메이션이고 2006년 1월 29일에 [[KBS]] 설날 특선만화로 방영되었으나 방영 당시 새벽 6시 30분 [[암흑 시간대|암흑시간]]에 방영했으며 이후에도 단 한번도 재방도 하지 않았다가 한참 후인 2025년에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의 한 유저가 발굴하여 더빙 방영 '''19년'''만에 [[로스트 미디어]]에서 벗어났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